(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우리나라 의사 10명 가운데 8명은 '번아웃 증후군'을 겪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의사 전용 지식·정보 공유서비스 업체 인터엠디(intermd)는 지난해 12월 26∼27일 의사 1천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의사 80%는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다 극도의 신체적·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번아웃 증후군'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런 원인(복수응답)으로는 '악화하는 의료환경'이 46.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많은 환자 수(41.1%), 많은 행정업무(37.7%), 야간 근무 및 공휴일 근무(36.4%), 긴 근무시간과 부족한 수면시간(31.7%), 환자의 과도한 요구사항(30.6%), 퇴근 후 계속되는 업무(25.6%), 의료인력의 부족(25.0%), 매출압박에 대한 부담감(15.2%)도 원인으로 꼽혔다.
현재 근무시간에 대해서는 '적당하다'는 답변이 52.3%로 가장 많았고, '많은 편' 40.9%, '적은 편' 6.8%였다.
또 현재 업무량과 관련해 '적당하다'는 답변은 47.6%, '많은 편' 39.3%, '적은 편' 13.1%로 각각 집계됐다.
직업 만족도에 대해서는 응답자 50.8%가 '만족한다'고 답했고, '매우 만족한다'는 7.6%뿐이었다.
5년 후 직업만족도가 어떻게 변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55.6%가 '지금보다 더 떨어질 것 같다'고 답했다. 비슷하거나 올라갈것 같다는 응답은 각각 31.2%, 13.2%였다.
디지털헬스케어 기기 관련 규제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3.4%가 '현재 수준에서 완화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나머지 46.6%는 '완화돼야 한다'고 답했다.
원격의료 허용에 관한 질문에는 '군부대, 오지 등 특수한 상황에 대해서만 찬성하겠다'는 응답이 57.7%, '어떠한 상황에도 반대'가 36.7%, '어떠한 상황에도 찬성한다'가 5.6%로 나타났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필수 기자] 올해 1월 1일부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마일리지 10년 초과분이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내년 1월 1일이면 2009년까지 쌓아뒀던 마일리지가 소멸됩니다. 항공사들은 항공권 구입, 좌석 승급, 제휴처 사용, 항공사 상품 구매 등 다양한 사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입니다. 대한항공은 보너스 항공권 구입, 좌석 승급 외에 로고상품, 호텔, 렌터카, 공항리무진, 여행상품 등 제휴처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제주 민속촌,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 키자니아와도 제휴에 나섰습니다. 지난 9일에는 캐나다 혼인증명서를 제출한 한국 국적의 40대 여성 부부에 대해 스카이패스 가족 등록을 해줬습니다. 마일리지 공유가 가능한 것입니다. 내년 11월부터는 모든 항공권을 구매할 때 운임의 20% 내에서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현금과 마일리지를 섞어 결제가 가능해집니다. 아시아나는 마일리지로 초과수하물 요금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전용 라운지도 이용할 수 있고 반려동물 탑승 비용 등도 공제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12일 변호사, 교수 등 106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마일리지 제도개선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연말 똑똑한 고배당주는? 저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연말을 앞두고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주명부가 폐쇄되기 전에 주식을 매입하면 이익을 배당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때문에 연말이 다가올 수록 고배당주를 찾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다음은 증권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국내 고배당주들입니다. 두산: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두산'의 올해 배당 수익률 추정치가 7.62%로 가장 높습니다. 쌍용양회:쌍용양회도 높은 배당이익을 기대 가능한 종목으로 꼽힙니다. 9월 부진했던 출하량이 10월 출하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4분기 출하량이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ESS 및 폐열발전 가동으로 원가 개선 효과도 커져 배당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효성, 기업은행,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DGB금융지주, 현대중공업지주도 연말 고배당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다만 금융주 고배당주에 대한 투자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고배당주 다수는 금리 변동에 민감한 은행 등 금융주에 쏠려 있기 때문이죠. 아무래도 저금리 환경에서 기업들은 은행에 대출하기보다 채권을 발행하는 등 자금 조달 환경을 바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