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하락을 이끈 핵심요인은 경제·민생, 영남과 20대 연령층 이반

문재인 대통령은 민생·경제 비판에 지난 10월30일 전북을 시작으로 전국 경제투어에 돌입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 12월 13일 경남을 방문했을 때 주민들과 만난 장면[사진 청와대]
▲ 문재인 대통령은 민생·경제 비판에 지난 10월30일 전북을 시작으로 전국 경제투어에 돌입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 12월 13일 경남을 방문했을 때 주민들과 만난 장면[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긍정평가)이 50%선이 붕괴됐다. 주간단위 정기조사를 진행하는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 <리얼미터>, <알앤써치>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40%대로 추락했다.

문 대통령의 2018년 한 해 지지율 추이를 <한국갤럽> 조사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취임 직후 보였던 80% 내외의 고공 지지율은 1월에 60%대로 하락하면서 1~2월 기간 동안 63%~68%를 오르내렸다. 평창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과 비트코인 논란 등이 재료로 작용했지만 취임 초기의 고공지지율이 조정 받는 과정이었다.

자연스런 조정과정은 4.27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중단됐다. 회담 직후인 5월 1주차 조사에서 83%로 급등하면서 다시 70%대 이상의 지지율로 복귀했다. 이러한 고공행진은 6.13지방선거 때까지 이어지면서 선거 직후인 6월2주차 조사에서는 79%를 기록했다.

이후부터 문 대통령 지지율은 9월 평양정상회담 전까지 약 3개월 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평양정상회담 직전 무렵인 9월1주차에 49%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6.13선거 결과가 낳은 후폭풍이었다. 위기감을 느낀 보수야권 지지층의 심리적인 결집이 진행되는 과정에  ‘민생·고용지표’ 악화라는 정치적 명분까지 제공된 탓이다.

이 또한 집권 2년차 대통령의 자연스런 지지율 조정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9월 평양정상회담 등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행보’로 이러한 지지율 하락을 일시적으로 막는데 그쳤다. 문 대통령 지지율은 9월3주차에 61%로 반등하면서 10월2주차에 65%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두 달 이상(9주) 지속적인 하락흐름을 타면서 12월2주차에 45%로 떨어졌다.

문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평가는 12월 2주차에 44%로까지 상승해 긍·부정평가가 팽팽한 상황까지 갔다가 다음 주인 12월 3주차에는 46%로까지 상승해 부정평가가 지지율에 역전하는 크로스 현상이 벌어졌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 조사기준으로도 문 대통령 지지율은 1월 4주차 주중집계에서 처음 50%대로 떨어지며 조정국면에 들어갔다가 4.27남북정상회담 효과로 5월1주차에 77%까지 상승했고 6.13 지방선거 후 재차 조정국면에 들어가면서 9월 평양정상회담 직전에는 53.1%를 기록했다.

정상회담 효과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65.3%로 상승했지만 이후 장기 하락 국면에 들어갔고 11월4주차에 9주 연속 하락하며 49.5%로 기록 40%대로 떨어졌고 12월 3주차 주중집계 46.5%로 취임 후 최저치 경신 흐름이 이어졌다.

민생·고용지표 악화에 전계층서 지지율 악화, 영남과 20대 연령층 이반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는 집권 초기에 비해 전 지역과 연령 등에서 약화되는 흐름이며 특히 20대 연령층과 부산/울산/경남 등 영남권의 이탈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에 대한 핵심 지지기반은 연령별로는 30~40대로 좁혀졌고 지역별로는 호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은 영남지역의 민심 이반에 기인한다. 민생·고용지표 악화를 피부로 체감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영남 임해공단 벨트의 중심은 자동차와 조선산업이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에서 시작된 조선과 자동차산업 위기와 연관 전후방 산업까지 직격탄을 맞으면서 올해 들어 부각된 고용악화의 진원지가 됐다.

그리고 20대 젊은 세대의 이반은 문 대통령의 적폐청산과 개혁에 대한 불만과 함께 젠더 아젠다 부상, 대체복무제 도입 등 병역제도 전환과정에서 남성층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여기에 공공기관과 공기업 등의 채용비리가 끊이지 않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을 이끈 정치적 요인 중 가장 핵심은 경제·민생 문제다. 고용, 투자 등 각종 경제지표 악화 소식이 몇 달째 이어지고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장기간 저하된 가운데 야당과 보수언론의 집요한 ‘경제위기’ 공세가 이러한 정치적 효과를 낳았다.

다음으로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이 문 대통령 지지율이 연말로 접어들면서 하락한 원인이 됐다. 기대했던 김정은 위원장 연내 답방, 남·북·미 종전선언도 해를 넘긴데다 ‘남북관계 진전’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까지 생겨난데 따른 것이다.

아울러 여권 내부적으로 이재명 경기지사를 둘러싼 지지층 내부의 갈등이 커진 것도 한 요인이다. 이는 문 대통령 지지층 이완을 낳았고 여권 전반에 대한 불신을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것이 중도·보수층 등 문 대통령을 약하게 지지하던 주변 지지층이 이탈하는 한 원인으로도 분석됐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