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완화적 금융여건,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 불균형 확대할 수 있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여건만 된다면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여건만 된다면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 불균형 누증을 해결하기 위해선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조정해야 한다며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여건만 된다면 금리 인상 쪽으로 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외 리스크 요인이 성장과 물가 등 거시 경제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금융 불균형을 완화하고 정책 여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또한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 시장에 금리 인상 신호를 준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여건만 된다면 금리 인상 쪽으로 가겠다는 메시지가 맞다”고 답했다.

앞서 지난 18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인상 이후 11개월째 이어진 동결 결정이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국제 경제) 전망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었다”며 동결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완화적 금융여건은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 불균형 누증을 확대할 수 있다”며 “금융안정을 위해선 유의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금융 불균형은 경기가 안 좋은데도 불구하고 저금리 기조에 따라 대출 등으로 시장에 유동자금이 넘쳐나는 상황을 말한다. 금융과 실물경기 간 왜곡이 심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유동자금이 높은 기대수익률을 제시하는 부동산과 같은 위험자산에 쏠리는 건 금융 불균형의 대표적 부작용 사례다.

이 총재가 언급한 금융 불균형의 누증이란 저금리 장기화로 가계부채가 늘고, 시장의 자금이 부동산으로 과도하게 쏠리고 있는 현 국내 상황을 지적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이 총재의 발언을 종합해보면 금융과 실물경기 간 왜곡이 심한 국내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완화적 금융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 금통위는 오는 11월 30일 회의를 앞두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날 회의에서 연 1.50%인 현재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정도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 이 총재는 국내 경제를 두고 “수출 호조, 소비의 완만한 증가세에 힘입어 대체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 이러한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대외 리스크 요인이 성장 경로에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가계대출에 대해서는 “높은 증가세 억제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증가 규모가 줄어들고 있으나 여전히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