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김용태 위원장 등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김용태 위원장 등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은 지난 10월1일 전국 253곳 당원협의회 중 사고 당협 22곳을 제외한 231곳의 당협위원장 전원에 대해 일괄 사퇴서를 받았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및 전원책 조직강화특별위원은 이를 바탕으로 12월말까지 현역 의원 112명(지역구 의원 95명)을 포함 원외 당협위원장 120여 곳에 대해 교체작업에 들어간다.

정량평가가 완료된다고 해도 정성 평가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국당이 흘리는 당협위원장 교체 기준을 보면 지방선거 결과뿐만 아니라 검찰 기소 현황 등도 병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도 이번 조강특위는 231곳 당협위원장이 전원 일괄 사퇴를 했기 때문에 과거 당무감사와는 달리 교체 필요성이 있는 곳과 없는 곳을 우선 구분하는 작업을 벌인다. 당무감사라기보다는 실태조사 및 여론조사, 면접을 통해 교체 지수가 높은 지역구의 경우 바로 공모절차를 밟는다.

실태조사 및 방법은 복잡할수록 현역이 유리한 구조다. 통상 현지 조사를 벌일 경우 검찰에 기소돼 재판받는 현역의원이 지역구 활동을 제일 잘하고 그 다음이 현역 의원이고 원외 당협위원장이 제일 낮은 등급을 받는다.

한국당에서 검찰 조사를 받고 재판중인 의원만 13명이다. 하지만 의원직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이기에 더 지역구를 열심히 일궈 좋은 점수를 받는 배경이 된다. 현역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반면 원외 위원장의 경우 지역주민이 얼굴도 모르거나 사무실도 없는 ‘휴대폰 위원장’이 적지 않아 교체 ‘0순위’라는 게 정설이다.

결국 정량 평가에 있어 현역 의원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다. 핵심은 정성 평가 즉 정치적 판단내지 고려가 얼마나 교체에 영향을 주는 냐가 관건이다. 기존대로 한다면 현역 의원들중에서 TK중심의 상징적인 인사 몇몇에 최종 대법원 판결 결과 유죄로 나온 의원을 포함해도 현역 교체지수는 한 자릿수에 머물 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럼 원외당협위원장들이 주 교체 대상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특히 홍준표 대표 시절 교체한 62명의 원외당협위원장이 주 대상이 될 것이라는 소문도 돌고 있다. 그렇다면 당내 실태조사나 여론조사, 면접에 논술 전형은 형식적일 수밖에 없다. 현역에게 절대 유리하고 원외 인사에게 불리하기 때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그에 따른 정권교체에 대한 책임론은 당내 갈등만 일으킨다는 우려 때문에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분위기다. 그나마 외부 조강특위 몇 몇 위원이 계파 및 명망가 정치 청산 등을 내놓아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선수가 높은 친이.친박계 인사들은 선당후사 차원에서 백의종군할 것을 종용하는 정도다. 차라리 정량 평가를 축소하고 정성 평가를 확대해 정치적 판단 기준을 확실하게 세워 인적 쇄신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한국당에 유리한 지역구는 현역이 가져가고 험지는 정치신인으로 채운다면 당협위원장에 정치신인들중 누가 응모하려 할 것인가. 이참에 현역 위주의 기존 정량평가 제도도 대폭 손질하고 정치 신인들이 대거 등용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춰야 한다.

‘당내 분열’만 우려해 최소한의 인적 쇄신만 하고 생색을 낸다면 미래가 없다. 전원책 조강특위 무용론을 넘어 폐해론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갑작스런 전국당협위원장 사퇴로 전국 조직이 마비되고 중앙당만 살아 움직이는 기형적인 정당이 됐기 때문이다.

또한 비대위 이후 출범할 공천권을 가진 막강 신임 지도부가 재차 ‘당무감사’를 통해 인적 청산을 할 수도 있다. 사회적 약자인 청년.여성에 대한 지역할당제 약속도 공론화해서 확실하게 인적교체를 이뤄야 전원책 조강특위가 돌팔매를 맞지 않을 것이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