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가 욕심낼 제안들 많이 했겠지만 절대 공짜는 아니다, 상응조치 많이 준비해야”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사진=폴리뉴스DB]
▲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사진=폴리뉴스DB]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은 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에게 (영변 핵시설 뿐 아니라) 핵무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해체까지도 미국이 상응조치만 하면 얼마든지 짧은 시간 내 할 수 있다는 식의 얘기를 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정 전 장관은 이날 tbs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결과에 대해 “2차 북미정상회담 날짜를 잡기로 합의까지 하고 왔다. 그렇게까지 될 때는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관련해서 상당히 적극적인 제안을 미국한테 했다고 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 대신 미국이 공개는 구체적으로 안 하고 있지만 (김 위원장이) 미국한테 상당히 많은 상응 조치를 요구했을 것”이라며 말했다. 정 전 장관이 이처럼 추정하는 이유로 폼페이오 장관을 수행했던 미국 관리가 한국에 와서 “이번에 큰 진전이 있었지만 앞으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일을 해야 될 것 같다”고 말한 대목을 들었다.

그러면서 “영어로 HAUL. 잘못하면 구멍(홀)로 읽을 수 있는데 (미국 관리가) 롱홀이 될 것이라고 그랬다. 그거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힘든 일이라는 단어”라며 “폼페이오 장관도 성과는 있었지만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고 그랬다. 그 얘기는 미국도 준비를 많이 해야 한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정 전 장관은 이어 “김정은 위원장이 (핵무기와 ICBM 해체 등을) 많이 내놨는데 그게 공짜는 아니다. 미국이 (상응조치를) 해 줘야 한다”며 “그러니까 미국으로 하여금 욕심나게 하는 제안들을 많이 했는데 그러려면 미국이 준비를 많이 해야 한다는 그런 뜻이 ‘롱홀’ 속에 숨어있다고 본다”고 했다.

또 그는 “(핵 사찰과 검증을) 미국 관리들이 직접 와서 보라는 식으로까지 얘기를 했을지도 모른다. 그게 문재인 대통령이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제안했던 연락사무소”라며 “(북한이) 이렇게 나오면 그거 거절할 수 없다. 그러려면 이제 미국이 준비할 것이 많다”고 했다.

이어 “연락사무소는 나중에 서로 상호대사관 교환 설치를 위한 준비 작업으로 봐야 되지만 그러나 핵문제와 관련해서 비핵화프로세스를 계속 현장에서 가깝게 있으면서 수시로 현장을 출입할 수 있는 사람들이 체류하는 장소다. 그 정도로 북한이 적극적으로 해 주겠다(고 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했다.

이에 대해 “(연락사무소 설치로) 비핵화프로세스의 속도를 높이고 나중에 평화협정 협상이 진전을 보이면 바로 북미수교협상하고 같이 병행하게 된다. 그렇게 나중에 평화협정까지 체결되고 북미수교를 해야만 되는 상황에서는 그 연락사무소가 대사관으로 승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 선언이 북미수교와 그 평화협정 협상의 대문이라고 보면 연락사무소는 비핵화프로세스의 대문”이라며 미국의 북한 연락사무소 설치가 북한 비핵화의 핵심적인 사찰 및 검증을 담당하는 기구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봤다.

정 전 장관은 “트럼프 1기 정부 임기가 끝나기 전에 다 해 줄 수 있다는 얘기를 했기 때문에 김정은 위원장은 아마 직접 폼페이오 장관에게 이 리스트를 다 내놨을 것”이라며 “그러나 반드시 여기에 상응하는 조치는 따라야 한다”고 미국이 상응조치에 대한 고민에 들어갔을 것으로 봤다.

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와 장소에 대해선 “미국에 입장에서는 괜히 일찍 했다가 나중에 그것 때문에 중간선거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면 뒤로 미루려고 할 것”이라며 “반면에 북한으로서는 중간선거 끝나고 난 뒤에 트럼프의 국내정치지형이 바뀌어서 정책이 바뀔지 모르니까 일단 빨리 해서 기정사실화하고 싶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중간선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손에 잡히는 성과가 나올 수 있다면 (중간선거 전에) 할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12일 김정은 위원장에게 백악관 방문을 초청했다.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워싱턴에 들어오도록 해서 얘기 끝나고 기자회견하는 것이 제일 모양이 좋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