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는 65년 동안 정전 상황, 전쟁종식은 평화체제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할 과정”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3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3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의 비핵화 결단을 평가하면서 “이제 국제사회가 북한의 새로운 선택과 노력에 화답할 차례”라며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서 15분 간 행한 제73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은 4월 20일, 핵개발 노선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경제발전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왔다. 정권 수립 70주년을 맞는 9월 9일에는 핵능력을 과시하는 대신 평화와 번영의 의지를 밝혔다. 북한은 오랜 고립에서 스스로 벗어나 다시 세계 앞에 섰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결단이 올바른 판단임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북한이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의 길을 계속 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며 “국제사회가 길을 열어준다면, 북한이 평화와 번영을 향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으리라 확신한다. 한국은 북한을 그 길로 이끌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또 문 대통령은 “한반도는 65년 동안 정전 상황이다. 전쟁 종식은 매우 절실하다. 평화체제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할 과정”이라며 “앞으로 비핵화를 위한 과감한 조치들이 관련국 사이에서 실행되고 종전선언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남·북·미 종전선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어려운 일이 따를지라도 남·북·미는 정상들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걸음씩 평화에 다가갈 것”이라며 “그러나 시작이다.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한 여정에 유엔 회원국들의 지속적인 지지와 협력을 부탁한다. 한국은 유엔이 채택한 결의들을 지키면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함께할 수 있도록 성심을 다할 것”이라고 거듭 유엔의 지지를 당부했다.

다음으로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정착 과정은 동북아 평화와 협력 질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며 “동북아는 세계 인구의 5분의 1이 살고, 세계 경제의 4분의 1을 떠받치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갈등으로 인해 더 큰 협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한반도에서부터 동북아의 갈등을 풀어나가겠다”고 동북아평화협력에 대해 얘기했다.

문 대통령은 8.15 광복절 축사에서 제안한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에 대해 “오늘의 유럽연합을 만든 ‘유럽석탄철강공동체’가 살아 있는 선례”라며 “‘동아시아철도공동체’는 향후 동아시아 에너지공동체와 경제 공동체, 더 나아가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로 이어질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과 북은 끊어진 철도와 도로 연결에 착수했다. 앞으로 ‘동아시아철도공동체’의 본격적 추진을 위해 역내 국가들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며 “동북아에서 유엔의 정신인 다자주의를 실현하고 공영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길에 국제사회가 지지와 협력을 보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문 대통령은 “지난 9월 대한민국 정부는 ‘사람 중심’의 국정철학을 토대로 ‘포용국가’를 선언했다”며 “‘포용성’은 국제개발협력의 철학이기도 하다.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국제환경을 만들기 위해 개발협력 규모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포용성’의 철학하게 국제사회에 기여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나는 인도적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화, 개발, 인권을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한민국 정부는 ‘모두에게 의미 있는 유엔’을 만들기 위해 함께 고민하고, 힘을 보탤 것”이라고 약속했다.

특히 “‘실질적 성평등 실현’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여성에 대한 모든 차별과 폭력에 더욱 단호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직접 경험했다. 국제사회의 ‘여성, 평화, 안보’ 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분쟁 지역의 성폭력을 철폐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함께할 것”이라고 성평등을 위해 역할을 다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과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우리 세대에게 주어진 도전이자 과제다. 대한민국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까지 높일 것”이라며 “파리협정에 따라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성실히 이행하고, 개발도상국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돕겠다”고 파리기후협약 또한 충실히 이행할 것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기조연설 마무리말로 1991년 남북한 유엔동시 가입을 언급하면서 “27년이 흐른 지금, 남과 북은 그날의 다짐을 실현하고 있다. 분단의 장벽을 넘어서며 마음의 벽을 허물고 있다”며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와 비핵화를 향한 길, 평화로운 세계를 향한 여정에 여러분 모두, 언제나 함께해 주실 것으로 믿는다”고 국제사회가 한반도평화 여정에 함께 해 줄 것을 거듭 호소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16번째로 연설자로 나섰다. 문 대통령의 연설을 김정숙 여사와 경화 외교부장관, 장하성 정책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이 지켜봤고 북측 인사들고 문 대통령의 연설을 경청하면서 내용을 메모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