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한수린 기자] 해외주식투자가 활발한 가운데 해외주식 사고가 발생하는 등 여전히 국내 증권사의 해외주식 관련 시스템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9일 금융감독원은 최근 해외주식 사고와 관련된 예탁결제원과 유진투자증권 검사 이후 삼성증권과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해외주식 거래를 하는 모든 증권사를 대상으로 해외주식과 관련한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지난 5월 발생한 유진투자증권의 사고가 다른 증권사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고 판단해 점검 범위를 확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5월 유진투자증권을 이용하는 투자자가 실제 보유한 것보다 많은 미국 주식을 매도하는 일이 벌어졌다. 주식병합에 따른 전산처리가 뒤늦게 처리됐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해 해외주식 권리 변경 처리 과정 등을 중심으로 해외주식과 관련된 시스템 등을 조사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사고의 구조적 원인은 해외 주식 매매 시스템에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병합된 증권정보를 예탁결제원이 유진투자증권에 전달하고 이를 개인 주식에 반영하는 과정이 자동화돼 있지 않아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국내 해외 주식 권리배정 시스템은 예탁결제원에서 제공하는 SAFE(예탁결제원 인터넷 기반 통합업무시스템) 방식과 CCF(Computer to Computer Facilities) 방식으로 나눠진다. 

SAFE방식은 예탁원과 증권사의 원장관리시스템이 연결돼 있지 않아 예탁원이 전달한 데이터를 증권사직원이 전산에 수작업으로 처리해야 한다. CCF방식은 자동화 형태로 예탁결제원이 제공한 해외 권리배정 정보가 그대로 증권사의 컴퓨터에 전송돼 중간 인력이 필요 없다.

현재 증권사가 고객 주식 현황에 해외 주식 권리배정 정보를 적용하는 방식은 증권사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권사 중 NH투자증권만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KB증권은 "해외 주식 권리배정으로 인한 변경 사항을 블룸버그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검열한 뒤 블랙아웃(거래 중지) 없이 고객별로 선반영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증권은 "SAFE방식과 CCF방식 모두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번 점검을 통해 예탁원이나 증권사의 법 위반 사항이 드러날 경우 제재·시스템 보완 요구 등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