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한수린 기자] 2016년 8월, 주식시장 거래시간이 30분 연장됐다. 2년이 지난 지금 거래시간 30분 연장의 효과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업계 일부에서는 제대로 된 검증없이 시행된 정책이며 그 효과도 나타나지 않고 있어 지금이라도 이를 단축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한국거래소와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은 거래시간 원상복귀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18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 정의당 추혜선 의원 주최로 '증권노동자 장시간 노동시간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가 진행됐다. 토론회에서는 주식 거래시간 연장의 실효성을 중심으로 찬반 토론이 진행됐다.

거래소는 지난 2016년 8월 1일부터 증시 거래시간을 오전 9시~오후 3시에서 오전 9시~오후 3시30분으로 30분 연장했다. 당시 금융당국은 주식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의 증가를 목적으로 거래시간 연장을 추진했다.

구기동 신구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교수는 "전체적인 경제상황의 진전과 자연증감을 고려할 경우 오히려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주식시장 매매거래시간 30분 연장 이후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구 교수에 따르면 코스피의 거래량은 오히려 축소되고 코스닥의 경우에도 상장주식수 증가를 고려할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매매거래시간 연장 전 24개월(2014년 8월~2016년 7월)을 연장 후 24개월(2016년 8월~2018년 7월)과 비교한 결과 코스피 상장주식수는 15.10%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월평균거래량은 오히려 9.95% 줄었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 상장주식수는 31.68% 늘었고 월평균거래량은 30.03% 증가했다.

또한 거래시간의 연장이 거래밀도를 낮추고 거래의 효율성을 떨어뜨렸다고 구 교수는 지적했다. 구 교수는 "증권거래는 거래 시간의 길이보다 시황에 크게 영향을 받고 국제거래시스템과 국내 시스템의 효율적 연계 구조에서 효율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증권시간 연장과 거래대금 및 거래량 변화 분석에 대해 단편적 비교로는 어떤 결론을 내리기에 부적절하다는 반박이 이어졌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해당기간의 증시 상황 등 다양한 변수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증권시장 거래시간은 국가경쟁력 확보 차원과 중장기적 증권시장 발전 관점에서 최소한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를 위해 "최대한 일관성을 유지하며 관련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오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보는 거래시간 연장 이에 대해 "중국시장과의 거래 중첩시간이 늘어나 장종료 후 발생한 해외증시의 주가 변동에 대해 다음날까지 기다리지 않고 국내의 투자자들의 즉시 대응할 수 있는 거래환경을 조성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권 본부장보는 "거래규모는 기업의 펀더멘탈, 금리, 환율, 물가, 경제 성장률과 같은 다양한 외부 변수의 복합작용의 결과물"이라며 "코스피 거래량만 볼 경우 감소했으나 이는 코스닥 활성화 및 ETF 간접투자 확산에 따른 거래가 분산된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거래시간 연장은 투자자 편의를 제고하고 글로벌 거래소로 성장하는 데에 발판을 마련한 의미있는 정책"이라며 "원상 복구에 대해서는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