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이란산 원유 제재 반대
국내 제품의 경쟁력 하락 우려

[폴리뉴스 김기율 기자] 미국 정부가 이란에 대한 제재를 지난 7일 재개했다. 전임 오바마 행정부가 체결했던 이란 핵 합의를 지난 5월 일방적으로 파기한 후 90일 유예기간이 지나자마자 재개한 것이다.

이번 제재는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이 적용된 1단계 제재다. 미국 기업뿐만 아니라 제3국의 기업과 개인도 제재대상으로 이란 리알화 거래, 이란 국채발행 관련 활동과 귀금속·철강·자동차 거래 금지 등이 포함됐다.

2단계 제재는 90일 이후인 오는 11월 5일부터 적용된다. 이란의 주요 자금줄인 원유와 석유화학 제품, 금융거래 등이 제재 항목이다. 미국은 이란산 원유 수입 중단에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이 동참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Petronet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이란산 원유 수입 규모는 1억4787만 배럴로 전체의 13.22%를 차지하며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에 이은 세 번째 규모다.

국내 정유업계는 이란 제재를 대비해 이란산 원유 수입을 줄여나가는 중이다. 올해 6월까지 총 5000만 배럴을 수입했으며 그 비중은 8.9% 정도다. 그 대신 미국·캐나다, 노르웨이 등 수입선 다변화로 원유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 중이다.

그러나 정유업계는 이란산 콘덴세이트 수입이 완전히 막힐 경우 제품의 원가 경쟁력이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석유화학산업의 주원료인 나프타 때문이다.  콘덴세이트를 분해하면 나프타가 80%가량 나오지만 일반 원유는 20%에 그친다.

게다가 중국, EU, 인도는 이란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일각에서는 국내 업체들의 제품 경쟁력이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이란 원유 수입중단을 반대해왔던 중국은 지난달 이란산 원유 월간 수입량을 26% 늘렸다.

정유업계는 미국의 예외국 인정을 위한 우리 정부의 협의에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 2012년 오바마 행정부의 이란 제재 당시 우리나라는 예외국으로 인정돼 이란산 원유 수입을 지속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미국이 이란 제재 효과 유지를 위해 예외국에게도 2012년보다 더욱더 수입량을 제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