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감축 효과 있어" vs "젊은 직원에 책임전가"

서울의 한 재건축 단지. 기사와 관계 없음. 
▲ 서울의 한 재건축 단지. 기사와 관계 없음. 

[폴리뉴스 윤중현 기자] 건설업계가 전반적인 인력 감축 분위기 속에서 젊은 직원들도 대거 감원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성과자 희망퇴직은 어쩔 수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사업 리스크 해소 방향이 잘못된 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SK건설은 올해 들어 대리급 직원을 포함해 일부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무를 조정하거나 퇴직 희망 신청을 받았다. 퇴직 희망자의 경우 연차와 직급에 따라 다르지만 약 1~2년 차 연봉을 한 번에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퇴직이라지만 사실상 권고사직에 가깝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정규직 직원의 수도 지난해 보다 줄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SK건설은 지난해 3월 31일 기준 4299명이었던 전체 정규직 직원 수가 올해 3월 31일 기준 4152명으로 147명 줄었다. 특히 플랜트 부문의 경우 같은 기간 2610명에서 2474명으로 136명 줄었다. SK건설 외에도 최근 대형 건설사들은 해외 시장에서 대규모 손실을 기록한 후 대대적으로 인력을 줄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인력 감축 현실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재건축 환수제, 보유세 강화 등 각종 부동산 규제에 영향받아 건설사들이 내부 구조조정에 내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희망퇴직을 받아 300여 명을 정리했다. 삼성물산도 지난해부터 여러 차례 희망퇴직을 통해 직원 2000여명을 줄였다. 삼성엔지니어링은 구조조정 등으로 지난 2015년 6073명이던 직원 수가 지난해 4849명까지 1200명가량 줄었다. 

업계에서는 인력 감축의 효과도 분명히 있다고 보고 있다. A 건설사 관계자는 "회사가 어려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을 한 것"이라며 "인력 배치, 조정 등을 통해 회사 체질도 강화됐다"고 밝혔다.

반면 젊은 직원에 대한 희망퇴직은 단기적 처방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구조조정에 그치지 말고 전문 분야 역량을 키우도록 회사도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인력 구조조정, 경력직 뽑기가 반복돼 쳇바퀴 돌듯 하는데 회사도 책임을 느껴야 한다"며 "국내외 각종 리스크의 불똥이 젊은 직원에게 엉뚱하게 튀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