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최석 대변인이 세월호 참사 당시 작성된 국군기무사령부(기무사) 문건과 관련, "박근혜 정권의 패륜적 행태를 기획하는데 기무사가 큰 몫을 했다"고 비판했다.
최 대변인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기무사의 패륜 행적이 나날이 드러나면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세월호 참사 당시 기무사가 작성한 문건에 따르면, 유족을 사찰한 것으로도 모자라 ‘세월호 인양 반대’ 여론을 조성하고, 심지어는 희생자들을 수장시키는 방안까지 청와대에 제안했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입을 열었다.
최 대변인은 "기무사는 인양의 비현실성을 홍보하는 등 반대 여론을 확산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까지 제안했다. 이는 선체를 인양해 사고의 원인이 밝혀지면 정부에 향할 비난을 우려해 사고 초창기부터 모든 진실을 감추려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당시 김기춘 비서실장 등 정부의 핵심 실세 뿐 아니라, 여당이었던 새누리당의 의원들도 유사한 프레임을 적극 활용했던 것을 국민들은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최 대변인은 또 "심지어 박근혜 전 대통령의 ‘눈물 담화’를 기무사가 조언하고 실제 청와대에서 실행한 것이라는 정황도 문건을 통해 확인됐다"며 "박근혜 정권의 패륜적 행태를 기획하는데 기무사가 큰 몫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진행되는 군 내부의 수사뿐 아니라, 국회 차원의 진상 규명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통해 기무사가 박근혜 정부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 낱낱이 밝혀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최근 국내 은행과 금융권에서는 핀테크랩 운영이 한창이다. 핀테크(금융에 IT 기술 접목) 스타트업에 무료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투자자를 연계하는 등의 지원은 물론 디지털 금융 서비스도 함께 개발한다. 현재 금융권에는 7개의 핀테크랩이 존재한다. KB금융그룹의 ‘KB이노베이션허브’ KB금융과 스타트업이 핀테크 기술과 오픈소스를 연구하고 협업하는 공간이다. 지난해 말까지 업무제휴 79건, KB금융 계열사 투자 134억 원 연계라는 성과를 냈다.KB이노베이션허브가 육성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KB스타터스’도 59개사에 달한다. KB스타터스로 선정된 간편결제 스타트업 ‘페이민트’는 최근 국민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했다. KEB하나은행의 ‘원큐애자일랩’ 지난 2015년 6월 은행권 최초로 탄생한 핀테크 스타트업 멘토링 센터다. 지난해 10월까지 54개 핀테크 기업을 발굴 및 육성했다.하나은행의 AI서비스 ‘하이뱅킹’은 원큐애자일랩 4기 ‘마인즈랩’의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기술을 은행 플랫폼에 적용해 대화형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사례다. 우리은행의 ‘위비핀테크랩’ 지난 2016년 8월부터 17개 혁신벤처기업을 육성했다. 외부
[폴리뉴스 김기율 기자] 지상 최대 가전·IT쇼인 CES 2019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오는 8일부터 11일까지(현지시각) 나흘간 진행됩니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지난 1967년 미국 뉴욕에서 제1회 대회가 열린 이후 최근 가전업계뿐만 아니라 IT, 자동차 등으로 영역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번 CES에서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비전과 전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콘셉트카’의 축소형 모델이 실제로 움직이는 모습을 선보입니다. 기아차는 자동차와 운전자가 교감하는 ‘실시간 감정반응 차량제어(READ) 시스템’을 제시합니다.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자동차가 인식해 실시간으로 실내 공간을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완전 자율주행 모드에서 탑승자가 허공에 그린 손짓을 인식하는 ‘가상공간 터치’ 기술과 유리창 디스플레이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탑승자의 움직임으로 특정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더 뉴 벤츠 CLA’를 세계 최초 공개합니다. 또 교통체증과 과밀 현상을 해소하는 새 모빌리티 콘셉트인 비전 어바네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