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박재형 기자] 한국 경제를 견인하는 반도체 산업이 중국 정부와 업계의 연합 공세로 위기에 몰리는 형국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17.4%였다. 이중 매출의 40% 가까이가 중국 시장에서 나온다. 

그렇다면 우리 반도체 산업의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업체들은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으면서 상승세를 보이던 메모리 반도체 가격 때문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가격 인하를 요구하더니 이제는 중국 정부에 민원을 넣어 한국 업체들을 압박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한국 업체들과 미국 업체들 간의 가격 담합조사를 벌이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담합 조사지만 사정을 보면 가격 인하 압박임이 쉽게 드러난다. 

우리 반도체 산업의 중국 의존도가 심화될수록 중국의 이 같은 ‘몽니’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대책이 없는 한국 업체들은 우리 정부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지만 대책이 없기는 우리 정부도 마찬가지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압박은 자국의 반도체 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때까지 지속적이고 집요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두렵기까지 하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우리 정부와 기업들에 두 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기업들에게는 기술 격차를 크게 할 지속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단행하라는 것이다. 

또 정부에 대해서는 우리 기업들을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어렵다면 우회적 지원을 하라고 권한다. 이는 반도체를 연구하는 기관·학계에 대한 투자를 지금보다 상상 이상으로 늘리라는 조언이다. 연구기관이 기술 수준을 높여 산업 전반에 파급효과를 노리라는 주문이다.

결국 우리 반도체 산업이 높은 기술 장벽을 유지하면서 상대에게 차이를 인정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라는 얘기라 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