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와 후속조처 따르는 공식사과 아니다” 선 그어

문재인 대통령과 쩐 다이 꽝 베트남 국가주석이 23일 오전(현지시간) 하노이 주석궁 회담장에서 열린 공동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과 쩐 다이 꽝 베트남 국가주석이 23일 오전(현지시간) 하노이 주석궁 회담장에서 열린 공동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한-베트남 정상회담에서 베트남전 과거사에 대해서도 “유감의 뜻”을 표한데 대해 쩐 다이 꽝 베트남 국가주석이 비공개 회담에서 “높이 평가한다”는 말을 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 주석궁에서 열린 한-베트남 정상회담 비공개 부분 브리핑에서 “꽝 주석은 문 대통령의 ‘불행한 역사’ 관련 발언에 대해 ‘베트남전 과거사에 대한 한국정부의 높이 평가한다. 과거의 아픔을 치유하고 양국 간 우호관계를 공고히 하며 상생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더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공개 모두발언에서 “모범적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마음에 남아있는 양국 간의 불행한 역사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하며 양국이 미래지향적인 협력 증진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가길 희망한다”며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 민간인 학살 등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꽝 주석은 이에 “훌륭한 말씀 감사하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의 ‘유감’ 표명은 과거사에 대한 공식사과는 아니다. 이는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 국민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해 미안하게 생각한다”, 2001년 한국을 방문한 쩐 득 렁 당시 주석에게 “불행한 전쟁에 참여했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4년 베트남 방문시 “우리 국민은 마음의 빚이 있다”고 한 맥락과 비슷한 수준이다.

문 대통령까지 포함한 3명의 대통령이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에 대해 이처럼 ‘유감’, ‘미안’, ‘마음의 빚’이란 말을 했지만 청와대는 공식사과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공식 사과는 정부 차원에서의 진상조사와 그에 따른 사과, 후속조처로는 배상 문제에 따르는 의미일 것”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보면 공식사과는 아니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이처럼 문 대통령의 유감 표명을 공식사과가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은 전쟁 당사국이었던 미국 등 다른 참전국들의 경우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하지 않은 것이 고려된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과 함께 베트남 또한 문 대통령 방한을 준비하면서 사과를 요구하지 않았음에도 이처럼 문 대통령이 유감을 표현한데 대해 이 관계자는 “베트남이 사과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해서 안 하겠다는 건 아니었다. 수위를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에 대해) 베트남 정부와 사전 협의는 없었다. 자체적으로 건의도 했고 대통령이 결정하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문 대통령의 유감 표명으로 사과가 마무리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러진 않은 거 같다”고도 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