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도시보증공사 등 분양가 제동 영향

[폴리뉴스 송경남 기자] 올해 서울지역 아파트 분양가가 1.8% 상승에 그치며 최근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3년 연속 상승률이 10% 미만을 기록한 것은 참여정부 이후로 처음이다.

14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부동산114의 ‘서울 아파트 분양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4년 연간 15.8%까지 상승했던 서울 아파트 분양가 상승률이 올해는 1.8%에 상승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서울 지역 아파트 분양가 상승률은 2015년 3.1%, 2016년 9.5%, 2017년 1.8% 등 3년 연속 10% 미만을 기록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올해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분양가심사위원회 등에서 분양가 인상에 제동을 걸면서 상승률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여기에 규제 강화 등으로 소비자의 눈치를 보는 건설사가 늘면서 공격적인 분양가 책정이 어려웠다”고 말했다.

2000년대에 들어선 이후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등락을 거듭했다. 노무현 정부(2003년~2007년) 때는 5년 동안 매년 쉬지 않고 올랐다. 5년 중 10% 미만 상승률을 기록한 해는 2006년뿐이었다. 2003년에는 상승률이 20%를 웃돌았고 정권 말기인 2007년에도 17%를 기록했다.

금융위기를 겪은 이명박 정부 때에는 등락을 반복했다. 당시 지방권역의 미분양 해소를 위해 양도세, 취득세 감면 다양한 혜택이 나오면서 지방권역 미분양이 급감하고 분위기가 반전됐지만 수도권에서 약세가 이어졌다.

특히 2011년에는 이명박 정부가 적극적으로 보금자리주택 공급을 추진하면서 강남·서초에도 3.3㎡당 평균 1000만 원 수준의 아파트가 공급돼 평균 분양가가 크게 낮아졌다.

박근혜 정부 초기인 2013년에는 강남 보금자리지구, 공공택지 위례신도시 등 공공분양이 늘면서 평균 분양가도 내렸다. 하지만 2014년 규제완화 등 분양시장이 호조세로 돌아서면서 매년 분양가가 상승했다. 다만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폐지에도 우려했던 만큼 분양가가 오르지는 않았다.

부동산인포는 내년 분양가는 하락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권 팀장은 “올해 관리처분인가 신청을 마친 강남 재건축 사업장이 내년 하반기 분양될 예정”이라면서 “이들 물량이 선호지역이긴 하지만 분양가 심사가 깐깐하고 대출규제도 적용받기 때문에 높은 분양가를 책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