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 봉동읍 지형 변화 / 황주홍 의원실
▲ 전북 완주군 봉동읍 지형 변화 / 황주홍 의원실

[폴리뉴스 이나희 기자] 전북 완주군 봉동읍 장구리 25ha의 산은 1995년 땅밀림이 발생한 이후 아직도 복구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등 땅밀림이 발생한 이후 아직도 복구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어 산사태 발생 우려가 있는 곳이 전국 5개소에 이른다는 지적이다.

6일 국회 예결특위 소속 황주홍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984년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황하정리 0.3ha의 산에서 땅밀림이 발생한 이후 올해까지 전국 28개소에서 땅밀림이 발생했고, 이중 23개소는 땅밀림이 복구됐으나, 전북 완주(1995년 발생), 강원 정선(2010년 발생), 경남 합천(2012년 발생), 경남 하동(2015년 발생), 경북 울진(2016년 발생) 등 5개소는 아직도 복구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땅밀림이 발생한 28개소 중 경남이 9개소(부산 1개소 포함 시 10개소)로 가장 많고, 경북 5개소를 포함하면 영남 지역이 54%로 과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 4개소를 포함하면 영남과 강원을 합한 남한 동쪽 지역에서 19번의 땅밀림이 발생(전체 발생 28번의 68%)한 것으로 분석됐다.
 
땅밀림 발생 피해 면적 기준으로는 전북 완주군이 25ha로 가장 피해가 컸으며, 경북 울진군이 20ha, 충북 단양이 10.6ha였다. 그 이외 지역은 3ha 이하가 20개소로 대부분이었고, 땅밀림 피해 면적이 3~8ha 사이에 있는 지역은 5개소로 나타났다.
 
황주홍 의원은 “포항 지진으로 땅밀림이 전국적으로 알려졌지만, 이전부터 전국에서 땅밀림 현상이 발생한 곳은 28개소이고, 이중 23개소만 복구 공사가 완료된 상황이다. 포항 지진에 의한 땅밀림 복구 공사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하지만, 아직 복구를 못한 전국 5개소도 산사태 방지를 위한 복구 공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땅밀림에 대한 경보체계가 원시적이라는 것이 더 큰 충격이다. 아직 2개소(포항과 하동)밖에 설치하지 못한 땅밀림 계측기를 전국의 나머지 26개소에 설치하고 땅밀림 계측 시 주민들에게 바로 알리는 시스템을 시급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