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에 있는 우리은행 본점 건물. <사진=폴리뉴스DB></div>
▲ 서울 중구에 있는 우리은행 본점 건물. <사진=폴리뉴스DB>

[폴리뉴스 조현수 기자] 우리은행의 올해 하반기 가장 큰 이슈는 역시 ‘예보 잔여지분 매각’이다. 우리은행이 지주사 전환으로 가는 첫걸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금융권에서 펼쳐지고 있는 핀테크화, 지주사 컨트롤타워 강화, 계열사 간 협업 시너지, 해외시장 진출 등 신성장동력 창출이 지주사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에 경쟁사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하기 위해서 지주사 전환은 이미 오래전 알려진 이광구 은행장의 전략이다. 또 예보의 잔여지분 매각이 지주사 전환의 필수 조건은 아니지만 우리은행 임직원들의 강력한 희망사랑이기도 하다. 

우리은행이 지주사로 전환하기 위해 거쳐가야 할 많은 계단들이 있겠지만, 정부가 가지고 있는 예보 잔여지분을 털고 새롭게 출범하는 과제가 가장 눈앞에 다가왔다.

현재 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은 약 18%로 여전히 최대주주다. 예보 지분 매각은 그동안 정부가 손해보지 않은 상태의 공적자금 회수 문제와 새 정부 금융위원장 인선 등 정치적인 일정이 변수로 작용했었다. 

그러나 현재 예보가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 12조 8000억 원 가운데 남은 2조 2000억 원을 회수하기 위한 적정 주가가 이미 넘었다. 실제 지난 7일 우리은행 주가는 주당 1만 8450원, 예보 평균 매입단가인 1만 4300원을 넘어섰다.

지분 매각이 늦어질 경우 매수인 부담이 커져 지금이 매도 적기라는 조언이 나올 정도다. 

신임 금융위원장도 최종구 수은행장이 내정되면서 잔여지분 매각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사실상 금융위원회가 정부지분 매각및 지주사 전환의 결정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최 내정자가 결정되면 우리은행의 정부지분 매각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예보의 정부지분 매각 전에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이 결정되면 매각이 2년 이상 더 늦춰질 가능이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법인세 이관을 위해 지분을 2년 간 보유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예보 측은 잔여지분 매각에 2년 6개월 여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지금이 지분 매각 적기라는 주장이다. 

잔여지분 매각 이슈가 해소되면 우리은행은 지주사 전환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작은 규모’의 금융사부터 처리하겠다고 밝혀, 보험이나 증권보다는 다른 계열사 위주로 자회사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은 '과점주주 체제' 아래에서 이뤄질 전망이다. 아직 국내에서는 시도된 적이 없는 과점주주 체제의 지주사 전환이 시도되는 셈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과점주주 체제의 경우 어느 한 쪽의 이익만을 위한 의사결정이 이뤄지지 않고 서로 적당한 견제가 가능해 기업 입장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지난 반년 간 (과점주주 체제에 대한) 검증해본 결과 예상됐던 마찰은 크지 않았고 오히려 효율성이 제고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은행의 아주캐피탈 인수와 관련, 우리은행이 투자한 펀드가 해당 주식을 매입한 것일 뿐 직접적으로 인수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설명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IB 사업과 관련 일반 투자자를 뜻하는 GP와 단순 시세차익 목적의 투자인 LP로 나뉘는데, 아주캐피탈 건은 LP투자라고 이해하면 쉽다”고 말했다.

이런 이슈들을 해소한 후 우리은행이 지주사 전환에 성공하면 우선 은행과 계열사 간 협업 시너지가 극대화될 전망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특히 실적이 좋은 은행과 타 자회사들이 한데 묶여 ‘지주’차원으로 평가받는다면 어느정도 보합효과가 예상돼 외부 평가등급 상승과 같은 후광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예보 지분매각과 관련해서도 공적자금 회수가 가능하다는 긍정적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어 하반기 지분매각 이슈 해소를 기대한다”며 “올해 안에 예보 지분매각을 완료해 내년부턴 본격적인 지주사 전환을 시작하고, 그 후 계열사 편입 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