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으로 중국 관광객이 감소하면서 면세업계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면세점의 핵심 고객인 중국 관광객의 대체재를 아직 찾지 못하고 있어서다.

면세업계는 현재 내국인과 동남아 관광객을 겨냥한 마케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지만 중국인의 빈자리를 채우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 관광객이 구매하는 객단가가 커 매출 감소 폭을 줄이기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중순 이후 서울 시내 면세점의 매출은 30~40% 감소했다. 2분기 실적 전망도 암울하다. 방한 중국 관광객 감소율이 이달부터 통째(30일 기준)로 반영되면 면세업계의 매출 감소 폭은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서울 시내 면세점이 2곳 더 늘어난다. 지난해 12월 추가 입찰을 통해 낙찰된 현대와 신세계면세점이 12월 면세점 오픈을 준비 중이다. 그러나 사드 보복으로 시장 상황이 녹록치 않은 만큼 일부 면세점은 관세청에 영업 개시 일자 연장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관세청은 영업개시 외에 수수료 납부 기한 연장, 분할 납부 등을 허용해줬다. 현대면세점은 현재 영업 개시 일정 연기를 검토 중인 상태다.

하지만 이 같은 지원책은 미봉책에 불과하다. 중국인을 대체할 핵심 고객을 찾지 못한 상태에서 이러한 지원은 시장 상황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4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면세 시장은 그간 많은 변천사를 거쳐왔다. 1988년대 여행 자유화를 계기로 면세점이 우후죽순 생겨나더니 2011년 일본 관광객에서 중국 관광객으로 주요 고객이 변화면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커졌다. 그러나 믿었던 중국인이 발등을 찍었다. 시장 성장 가능성을 보고 면세시장에 뛰어드는 사업자는 늘어났지만, 사업성이 한순간에 작아진 것이다. 

앞서 정부는 5년 한시법, 수수료 변경 등으로 면세시장 규제를 강화해왔다. 하지만 사드 보복으로 면세업계가 매출을 끌어올릴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채찍질은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 정부가 면세사업에 채찍보다 ‘당근’을 써야 하는 이유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