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조현수 기자] 지난달 24일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올해 흑자 전환을 자신하며 약속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책임지고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현저히 낮은 자구계획 이행률을 보인 대우조선이 “올해는 흑자기조를 만들겠다”고 하는 말은 선뜻 신뢰감으로 다가오진 않는다.

금융위·대우조선은 지난 2015년에도 약 4조 2000억 원 국민 혈세의 지원 결정시에도 적극적인 자구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사실에 동의했고 다짐한 경력이 있었다.

당시 대우조선은 부동산 등 비핵심 자산과 국내 자회사를 매각하고 내부 구조 역시 개선해 총 1조 8500억 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수립했으나, 수주 급감과 리스크 증가 등 내·외적 악재가 겹쳐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다.

지난해 6월에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총 5조 3000억 원 규모의 자구책을 또 제시한 바 있다.

호언장담했던 대우조선의 지난 한 해 실제 자구계획 이행 규모는 1조 8000억 원. 본인들이 세운 목표를 절반도 달성하지 못한 초라한 실적도 국민들을 불안하게 한다.

‘양치기 소년’ 취급을 받게 생긴 대우조선이 2017년에도 "한 번만 더 믿어달라"고 한다. 금융위도 이해관계자 모두가 함께 부담을 짊어지면 "한번 해볼만하다"면서 대우조선의 회생에 방점을 찍은 모양새다.

하지만 자산 매각과 인건비 절감을 ‘최대한 신속하게’ 실행하고 노조에게 자구계획 이행 협조 동의서를 받겠다는, 금융위가 제시한 자구책 역시 2015년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

대우조선이 파산하면 약 59조 원의 직·간접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는 금융위 조사결과 역시 늑대가 몰려온다는 양치기 소년의 으름장처럼 들린다.

물론 어려운 상황에서 뼈를 깎는 노력으로 자구책을 이행중인 대우조선과, 회사가 안정화되어 결과적으로 우리 경제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피해가려는 금융당국의 결단을 모르는 바 아니다.

그러나 지원을 할 땐 하더라도 지원해 줄 대상이 그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는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특히 대우조선이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 상태에 빠져있지 않나 크로스체크를 강화해야 한다.

‘어차피 도산은 모두에게 가장 피하고 싶은 선택지이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지원은 올 것’이란 안일한 타성에 젖어있다면 백약이 무효다.

‘자구’는 ‘스스로 구원한다’는 의미다. 대우조선은 ‘스스로 구한다’ 는 자세를 끝까지 견지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