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후 전남 진도군 사고 해역에서 세월호가 반잠수선으로 이동 준비하며 처참한 선수를 드러내고 있다 / 연합뉴스
▲ 24일 오후 전남 진도군 사고 해역에서 세월호가 반잠수선으로 이동 준비하며 처참한 선수를 드러내고 있다 / 연합뉴스

전남 진도 앞바다에 가라앉았던 세월호가 바닷속에서 나와 사고발생 1천74일만인 24일 동거차도 남쪽 해상의 반잠수식 선박과 목포 신항으로 이어지는 '마지막 항해'를 시작했다.

기착지는 동거차도 남방 2.3마일 부근 해상의 반잠수식 선박 '화이트 마린'(White Marlin)이었다.

TV 중계를 통해 본 세월호의 항해는 매우 정적이었다. 속도를 낮추고 조류를 타고 흘러가듯 이동해, 예인선의 주변에 이는 포말을 보고서야 이동 중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정도였다.

세월호는 이날 오후 4시55분께 잭킹바지선 2척에 묶인 채 예인선 5척의 도움을 받아 사고 지점에서 출발했다.

조류를 타며 3㎞를 항해해 3시간 30분만인 오후 8시 30분 반잠수선 부근 해상에 무사히 도착했다.

이후 1시간 30분 만인 오후 10시 반잠수선 데크 위로 올라왔다.

반잠수선이 물밑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데크 바로 위로 세월호가 이동하고, 이후 반잠수선이 부상해 세월호를 데크로 받치면 거치 작업이 끝난다.

이날의 1등 공신은 5척의 예인선이었다.

선두 예인선 한대가 앞에서 끌고 양옆에 2대씩 붙어 세월호의 진행 방향을 조정했다.

세월호와 재킹바지선 묶음에 비하면 보잘것없는 크기이지만 선두 예인선 '화밍호'의 엔진 출력은 1만2천마력에 달한다. 양옆 보조 예인선도 3천400~6천400마력으로 만만치 않다.

조류의 방향이나 항로가 바뀔 때는 예인선들이 위치를 바꿔가며 세월호를 끌기도 하고 밀기도 했다.

세월호가 두께 1m의 리프팀빔 위에 올려진 채로 66가닥의 와이어로 양옆의 바지선에 연결된 상태라 매우 조심스럽지 않을 수 없었다.

속도를 낼 때는 7노트까지 올라갔지만 이후 반잠수선과 가까워지고 나서는 속도를 늦추며 신중히 접근했다.

어둠이 깔리고 나서는 바지선과 인근 선박 등에서 나온 불빛이 망망대해를 비추며 현장의 긴장감을 느끼게 해줬다.

가족을 향한 짧은 항해를 시작한 세월호의 모습은 황량했다. 화물칸인 파란색 하부와 객실·조타실 등이 있는 흰색 상부가 명확히 구분됐지만 곳곳이 긁히고 부식돼 일부에만 파란색 색채가 들어간 흑백사진을 보는 듯했다.

그러나 이제는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과 유가족들이 기다리는 최종 목적지 목포 신항까지 가는 비교적 순탄한 길만 남았다. / 연합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