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에 반발해 단체 관광객의 한국 방문을 금지한 지 닷새째인 19일 오후 화창한 봄날씨에도 불구하고 서울 송파구 잠실동 탄천 공영주차장에 평소 주말보다 많은 관광버스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에 반발해 단체 관광객의 한국 방문을 금지한 지 닷새째인 19일 오후 화창한 봄날씨에도 불구하고 서울 송파구 잠실동 탄천 공영주차장에 평소 주말보다 많은 관광버스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준완 기자]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18일(현지시각) 독일 바덴바덴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샤오제(肖捷) 중국 재정부장과 양자 회담을 기대했으나 결국 무산됐다. 

우리측에서 만남을 요청했지만 중국측은 일정이 맞지않는다는 이유로 거절했다는 소식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 실체를 확인하면서 해법을 논의하려는 우리의 계획이 무산으로 돌아가면서 정부 대 정부의 해결 수순은 난망해지고 있다. 

전방위 보복으로 확산될 기미를 보이던 사드보복이 최근 수위조절론이 나오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기대할 순 있지만, 중국에선 롯데를 비롯한 한국기업에 대한 불신은 여전하다. 

서울 명동 등 전국 관광지에선 중국인들의 시끌벅적한 모습도 자취를 감춰 사드갈등이 장기전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깊어간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인용 소식이 전해진 지난 10일 이후 중국의 일부 언론은 순자의 말을 인용해 한국소식을 전했다. 

“임금은 배와 같고, 백성은 물과 같다.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지만 물은 배를 엎을 수도 있다”

국민들은 대통령을 선택해 청와대에 입주시켰지만,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면 “방 빼”라는 청천벽력의 통고를 내릴 수 있단 의미다. 

중국은 사드보복에도 순자의 메시지가 숨어있다. 

1992년 한·중수교가 시작되면서 한국은 중국을 제조업의 공장으로 삼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원가절감 등의 목적으로 중국에 공장을 세우기 시작했다. 온라인게임-화장품-관광-의류 등 일부 분야의 중국 본토시장에서 선전은 곧 국내 증시에 반영되어 주가가 급등했다. 

중국은 한국경제가 IMF시대와 금융위기 등 몇 번의 굴곡을 겪었지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즉 한국경제호가 순항하도록 물을 제공했기 때문에 사드보복은 그 물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의미로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한중관계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면서 한·중FTA까지 맺었기 때문에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판을 뒤엎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연간 인적 교류는 1000만 명이 넘고 한국의 최대 무역국이면서, 중국입장에서 보면 세계 3대 무역국인 나라가 이웃 한국이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이 사드보복의 수위를 조절하는 행태를 보이는 것도 바로 이런 환경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중국의 사드보복에 대해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절대 안된다. 거리에서 보는 중국인들에 대한 험한 대응, 중국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중국 비즈니스의 일시 중단 등 맞불작전을 감행하면 자칫 전면전으로 갈 수 있다. 

중국의 경제보복을 당한 국가들은 대부분 현명한 대처로 전화위복의 기회를 만들었다.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분쟁으로 인한 희토류 보복, 노르웨이의 노벨평화상을 둘러싼 연어수입 금지 등은 대표적인 중국의 경제보복 사례들이다.

이들 국가들은 모두 보복조치를 당한 품목들에 대해 수입을 다변화하면서 중국 의존도를 줄였으며, 국민들의 감정대응을 극도로 자제하면서 끝내 중국의 보복을 극복했다. 
 
우리도 수출입 품목의 중국 의존도를 분산시키면서, 사드보복의 범위 안에서 강력 항의하고 국제법으로 접근해 풀어가야 한다. 중국의 사드보복에 대응하는 우리 정부당국과 국민들의 자세는 지극히 냉철하고 현명해야 끝내 이길 수 있는 싸움이다. 

사드보복이란 '새옹지마'는 '전화위복'의 기회를 반드시 뒤춤에 감추고 온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시기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