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이 강화되면서 유통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면세점, 화장품, 호텔 등 유통업계가 중국 의존도가 높은 만큼 한국 기업에 대한 중국 제재가 강화되면 매출이 크게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날(3월 15일)은 중국 소비자의 날로 중국의 냉한 기류를 확인할 수 있단 점에서 국내 유통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매년 3월 15일이 되면 중국 CCTV와 정부부처는 공동으로 소비자 고발프로그램 ‘3.15 완후이’를 방영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불량이나 속임수 판매를 하는 기업을 고발하는 데 주로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을 타깃으로 삼는다. 하지만 최근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발 기류가 강해지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이 완후이의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유통업계의 긴장감도 극에 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중국의 비이성적인 사드 보복행위다. 지난달 28일 롯데그룹이 사드 부지를 제공하기로 확정한 이후 중국 관영매체는 롯데를 비난하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해 중국 내 반한 감정을 고조시켰다. 그 결과 현지 롯데마트 영업정지(55곳)에 이어 롯데주류(처음처럼 부수기) 등 중국 내 한국산 불매운동은 과열된 양상을 보였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최근 중국 웨이보에서는 롯데를 개로 비하하며 한국 화장품이나 롯데 상품을 보이콧하자는 주장을 담은 동영상이 올라와 논란이 일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중국포털 소후(搜狐)닷컴 등 동영상 홈페이지에서는 검은색 패딩을 입은 젊은 여성이 중국 롯데마트 매장에 나타나 식품코너를 돌면서 식품을 훔쳐 먹고 제품을 훼손하는 영상이 유포되는 등 중국 내 사드 보복행위는 비상식적인 행위로 변질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중국의 사드 보복 행위가 ‘중화주의(中華主義)’ 정신에서 나온다는 점이다. 중화주의는 중국은 천하의 중심국가로서 주변 나라들을 정치적으로 복속(服屬)시켜야 한다는 논리를 뜻하는 말로 미국 무기인 사드를 배치하는 한국을 제재하는 행위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정부는 사드 피해 사태가 심각해지고 나서야 대책 마련 간담회를 열어 뒷북 대응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명동에서는 중국말 대신 한국말이 더 들린다. 그동안 명동 거리를 채웠던 중국 관광객이 줄면서 화장품 직원들이 구사하는 언어도 달라진 것이다. 중국은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가까운 나라인 것은 맞지만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언제든 안면을 바꿀 수 있는 먼 나라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유통업계가 서둘러 시장 다변화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