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중국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이 강화되면서 유통업계의 속도 타들어가고 있다. 롯데에 
집중된 사드 보복이 한국 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중국 현지에서는 롯데 계열사 식품 이외에도 한국 식품을 판매하지 않겠다는 매장이 있는 가하면 한국 화장품을 판매하는 직원에게 욕설을 퍼붓는 중국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중국에 진출한 국내 유통 기업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 내 반한 감정이 고조됨에 따라 중국 매출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사업도 안심할 수는 없다. 롯데그룹의 핵심 사업인 롯데면세점의 전체 매출의 70~80%가량은 중국 관광객에서 나온다. 지난해 문을 연 신규면세점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신세계, HDC신라, 두산 등 대부분의 신규면세점의 주요 고객은 중국인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말부터 현대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이 새롭게 문을 연다. 지난해 관세청의 추가 입찰로 시내 면세점이 9곳에서 13곳으로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사드 여파로 수익을 내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판은 벌려놨는데 상황은 오히려 악화된 셈이다.

하지만 중국의 사드 보복은 예상된 일이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사드 배치 발표 이후 사드 보복 수위를 꾸준히 높여왔다. 화장품 통관 불허, 한국 관광제한, 전세기운항 불허 등을 진행한 데 이어 롯데그룹의 사드부지 제공이 확정되자 중국 롯데마트 23곳을 영업정지 시켰다. 

문제는 이 같은 사드 보복이 앞으로 계속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는 사드보복을 부인하고 있지만 불시적으로 롯데 현지 사업장에 대한 소방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롯데그룹 내부에서도 영업정지를 당하는 롯데마트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정부는 현재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한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하는 등 대응 준비에 들어갔지만 이에 대한 뾰족한 해결책은 내놓고 못하고 있다. 백화점을 비롯한 화장품, 면세점 등 유통업계는 그간 중국 의존도가 커 중국 리스크에 대한 충격이 컸다. 하지만 이제는 넋 놓고 있을 것이 아니라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