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최근 들어 중국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 조짐이 강화되고 있다. 앞서 중국은 한국 연예인의 자국 방송 출연을 제한하는 금한령, 한국 관광 제한, 전세기 운항 취소 등에 이어 최근에는 한류콘텐츠 노출도 제한하는 등 보복 수위를 높여왔다.

여기에 최근 롯데가 성주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하기로 결정하면서 업계에서는 중국의 직·간접적인 사드 보복 행위가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중국 관영매체들은 현재 롯데의 사드 부지 제공에 대해 한국과 롯데를 벌해야 한다는 내용을 보도하면서 중국 내 반한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 이 같은 기류를 자국민의 불매 운동으로 확산시켜 롯데에 패널티를 주겠다는 것.

이 때문에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유통업계도 직격탄을 맞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체 유통업계의 상황을 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물론 사드 영향이 없을 수는 없다. 하지만 중국의 모든 규제 행위를 사드 때문이라고 단정 지을 수도 없다. 

대표적인 사례가 화장품이다. 중국 정부는 사드 배치 이전에도 한국 화장품에 대한 규제를 꾸준히 강화해왔다. 위생 허가 심사를 개별 품목으로 확대하면서 허가에 걸리는 시간도 최소 6개월~1년으로 늘었다. 이 때문에 일부 중소·중견 브랜드의 경우 중국 진출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사드 배치는 중국 정부의 ‘한류 때리기’에 명분을 준 것 일수도 있다.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자 하는 중국이 사드를 빌미로 한국 기업의 진출을 직·간접적으로 규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변화에 맞춰 중국 이외에도 일본, 동남아시아 등으로 진출하는 화장품 기업도 늘고 있는 추세다. 시장 다변화로 리스크도 줄이고 성장세도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중국 현지 진출로 돌파구를 찾은 기업도 있다. 그동안 국내 유통업계는 유커 의존도가 커 중국 리스크에 대한 충격이 컸다. 하지만 이제는 넋 놓고 있을 것이 아니라 ‘자구책’을 찾아야 할 때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