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면세점 추가 특허 심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최근 웃지 못할 참극이 벌어지고 있다. 실적이 저조한 한 신규 면세점(두타면세점)은 책임자(이천우 부사장)가 사퇴수순을 밟고 있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면세점 입찰 기업들이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점수 따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니 말이다.

지난해 면세점 입찰에서 티켓을 거머쥔 신규 면세점들은 중국 관광객 증가로 수익성을 기대했지만 경쟁격화로 고민이 깊어진 모양새다. 루이비통을 비롯한 명품 유치가 쉽지 않은데다 면세점 증가로 가져갈 수 있는 시장 파이도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반기 신규 면세점들은 줄줄이 적자를 기록했다. 신세계디에프는 174억 원, HDC신라면세점 116억 원, 갤러리아면세점63은174억 원, 두산은 160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12월경 진행되는 면세점 추가 특허 심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입찰 참여 기업들의 물밑경쟁은 더욱 가열되는 모습이다. 롯데, SK, 현대백화점 등 기업들은 심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사회공헌, 상생 등 미담 만들기에 집중하거나 운영역량을 어필하기 위해 특허 획득에 도움을 줄만한 공약을 홍보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이 가운데 눈길을 끄는 것은 자칫 무리수로 보일 수 있는 기업의 과장 홍보다. 대표적인 사례가 현대백화점의 ‘루이비통 조건부 입점 계약’이다. 

최근 현대백화점은 외국 관광객 유치를 위해 루이비통(LOUIS VUITTON), 디오르(Dior) 등 해외 명품 브랜드를 공급하는 부루벨코리아와 ‘특허 취득 조건부 입점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현대면세점이 특허를 획득할 경우 부루벨코리아가 취급하는 브랜드 입점을 확약(確約)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부루벨코리아는 루이비통 조건부 입점 계약을 부인했다. 이에 대해 현대백화점 측은 특허 획득 시 향후 본사와 협의를 거쳐 루이비통을 유치한다는 의미라고 해명했지만 본사와의 계약이 아닌 만큼 입점 가능성이 적어 과장 홍보 논란이 일었다.

최근 ‘최순실 국정 농단’의 진원지로 불리는 미르재단 출연금을 롯데, SK 등 기업들이 지원한 가운데 현대백화점은 재단 출연금을 지원하지 않아 일각에선 현대백화점이 심사에서 유리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주차장 확보에 이어 과장홍보 논란으로 또다시 구설수에 휩싸였다. 

앞서 진출한 신규 면세점들 중 일부 면세점은 실적 부진에 속앓이를 하고 있는 가운데 12월경 진행될 추가 특허 심사에서 선정된 기업들은 어떤 미래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