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씨의 ‘국정 논란’이 정국의 블랙홀로 떠오르면서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미르와 K스포츠재단 설립 과정에서 대기업들이 수입억 원대의 돈을 출연했던 것은 이미 묻혀버렸다.

잊힌 이슈를 다시 꺼내는 것은 이 같은 구습(舊習)이 또다시 일어날 수 있을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그동안 대한민국에서 대기업은 경제 성장의 중추역할을 해왔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노동자를 착취하고 책임을 회피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모두 맞는 말이다. 더욱이 불법을 저지른 것을 막기 위해 정권과 밀착돼 있는 모습을 숱하게 봐왔다. 이 때문에 정경유착(政經癒着)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돼 왔다.

아직까지 정확한 사실관계가 드러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의 정황을 종합해보면 최순실 씨가 미르와 K스포츠재단을 설립하면서 대기업들에게 출연을 요구했고 기업들은 최 씨가 대통령의 비선(秘線) 조직의 핵심인물인 것을 알고 거금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정권에 괜한 미움을 사서는 안 되겠다는 마음이었을 것으로 풀이된다.

수많은 스타트업, 벤처기업들이 초기 자본금 몇 천만 원, 몇 억 원이 없어 아이디어를 상품화시키지 못해 소리 없이 살아지는 마당에 제대로 된 사업계획서도 없는 사업에 수십억 원을 선뜻 내놓은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털면 먼지 안 나는 기업은 없다”는 말이 우스갯소리가 아닌 진실로 규명된 것이다. 경영을 하다보면 자기도 모르게 실수를 할 수 있다. 그런 실수에 대해 사과와 처벌이 아닌 권력과의 유착을 통해 무마하려는 기업들의 민낯이 그대로 들어났다. 뿐만 아니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미르와 K스포츠재단의 설립과 모금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제 의혹의 실체가 어디까지 드러날지 모른다. 의혹들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대기업 총수 또는 최고경영자(CEO), 고위 임원들이 일렬로 서서 머리를 조아리며 “잘못했습니다. 깊은 반성과 함께 앞으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뼈를 깎는 마음으로 일신하겠습니다”라고 사과하는 그림이 그려진다. 그런 사과를 더 이상 국민들은 믿지 않는다. 어차피 또 권력에 빌붙고 권력을 이용할 것이라고 국민들이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신뢰도는 그 정도일 뿐이다.

기업들은 권력과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끊을 자신이 없다면 자신이 저지른 또는 저지를 문제에 대해 법적 처벌을 받을 각오를 해야 할 것이다. 자식들에게 기업을 물려주면서 당당하고 떳떳하길 바란다면 잠깐 동안 국민의 조롱과 손가락질을 받더라도 이참에 새롭게 태어나길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