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를 비롯한 수도권 출마 후보들이 3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총선승리를 위한 수도권 후보 출정식'에서 승리를 다짐하고 있다.
▲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를 비롯한 수도권 출마 후보들이 3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총선승리를 위한 수도권 후보 출정식'에서 승리를 다짐하고 있다.
투표가 딱 열 이틀 남았다. 며칠 후면 여론조사공표가 금지되는 깜깜이 국면이다. 국민의당 후보에 비해 열세인 더민주당 후보가 사퇴할 경우, 더민주 후보 지지 표는 비교적 큰 이탈없이 국민의당 후보에게 갈 것이다. 반면, 국민의당 후보가 사퇴할 경우, 그 지지자의 약 20%는 새누리로, 30% 정도는 기권 가능성이 크고, 최대 40% 정도가 야당 후보에게 갈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 18대 대선과 2014년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축적된 데이터를 통한 가늠이다.

현재 수도권에서 국민의당 후보들 지지율은 평균 10% 선이다. 그 지지자들의 40%, 즉 지지율 4% 정도만 야권 후보에게 합쳐져도 수도권의 눈 터지는 계가 바둑판, 박빙 선거구에서 새누리당의 어부지리는 거의 불가능하다. 

연대를 요구하는 범 야권 지지자들은 “당세나 지지율이 열세니까 국민의당이 무조건 물러나라”는 게 아니다. 집권 이후 실정과 반동적 퇴보를 지속하고 있는 새누리당의 의석을 최대한 줄이라는 것이고, 그 목표에 근접해있는 후보로 합치라는 것이다. 소수이긴 하지만, 국민의당 후보가 앞서는 지역에서는 다른 야당이 사퇴해서 전선을 1;1 구도로 만들라는 것이다. 시간, 물론 촉박하다. 그러나 이미 각 당이 계속 돌리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에, 국민의당이 도입한 배심원단 숙의제도, 안심번호제경선 등 단일화 방법은 많다. 당 이름을 빼고 후보 이름만으로 여론조사하는 것도 방법이다. 의지가 문제다. 시간은 넉넉지 않지만, 동원 가능한 방법은 아직도 충분하다. 

선거가 임박할수록 후보 개인들의 정치적 욕망은 제어 불가능 수준으로 치닫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전국적으로 후보들이 단일화를 ‘자율적으로’ 속속 해내고 있다. 야권 3단 지도부의 전략적 판단과 과감한 결정만 남아있다. 

안 대표의 '양당 구도 타파론'은 실패 선고가 내려졌다고 봐야한다. 창당 초기에 비해 반토막난 지지율이 첫 번째 증거이다. 정체성 모호한 잡탕밥이 주 원인이었다. 두 번째는, 다당제는 의원내각제와 정당명부 비례대표제가 병행되지 않으면 의미를 획득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 국민의당은 당론은 커녕 확실한 입장 개진도 거의 없었다. 

출범 후 3년 간 무수한 실정과 역사의 반동적 후퇴가 지속되고 있는데도 새누리당이 180석에 육박한다면 야3당 공동책임이다. 그 중에 국민의당 책임이 가장 클 것이다. “연대불가”를 견지하기 때문이다. 물론 더민주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필리버스터 중단 이후 고조되는 비판을 돌리기 위한 국면전환용  혐의가 다분했던 “야권통합” 제안 이후, 최소한 연대를 위해서라도 그 어떤 실효적 조치들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다. 

4년 전 정치 입문 당시 안 대표의 초성은 “한나라당 세력의 확장 반대”였다. 아직도 그의 소신이 변함없다면 선거연대의 조종간은 국민의당이 잡고 있다. 그는 지금도 입으로는 새누리당  확장에 반대한다고 강조한다. 행동으로 보여야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신뢰감’과 ‘정직성’이 살아난다. 

안 대표는 왜 선거연대를 극력 거부할까. 교섭단체를 확보해  두 거대 정당 사이에서 진동 추나 스윙보터 역할을 함으로써 정치생산성을 높이고, 양당 위주 나눠먹기를 깨겠다는 것일 게다. 그렇지만 새누리당이 1당 독재 가능 의석을 확보하면 원내교섭단체가 두 세 개가 된들 진동 추건 스윙보터건 무용지물이다. 포병이 표적을 설정할 때 1mm만 틀려도 수 km를 날아가 떨어지는 지점은 표적에서 수 백m나 벗어나기 마련이다.

안 대표의 잠재적 정치력을 가늠해볼 마지막 기회가 아닐까 싶다. 그는 젊지만, 젊기에 ‘시간’과 ‘기회’도 많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젊다고 정치적 미래마저 창창한 것은 아니다. (이강윤. 언론인. lkypraha@naver.com)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