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관련 정보 구체적인 실상, 대부분 낭설이거나 과장생산된 것들

                                                                                김근식(경남대 교수, 정치학) 

  언론의 주목을 끌던 최룡해 감금설이 사실무근으로 밝혀졌다. 탈북자 출신이 운영하는 대북 매체가 감금설을 보도한 이후 최룡해의 건재가 혹인되면서 해프닝으로 끌나고 말았다. 장성택 사건 이후 이른바 대북 소식통의 정보 전달 역할이 눈에 띠게 는 게 사실이다. 북한 내부와 연결된 비공식 정보는 때로 매우 의미있고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돌이켜 보면 대북 소식통의 긍정적 역할보다는 부정적 폐해도 적지 않았다. 확인되지 않는 각종 설이 경쟁적으로 유포되면서 객관적인 북한정세 평가에 장애가 되기도 하고 사실 아닌 내용이 부풀려지면서 남북관계에 불필요한 걸림돌이 되기도 했던 게 사실이다. 대북 소식통의 무차별적 정보 확산에 일부 언론이 동조하면서 신중해야 할 대북정책과 남북관계가 휘둘리기도 하고 북이 이를 빌미로 우리 정부를 공식 비난하기도 했다.

  사실무근의 각종 설들이 이처럼 대량 생산되고 전달되는 데는 이른바 대북 소식통이라는 이름으로 탈북자들이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일부 종편과 언론이 확인도 없이 경쟁적으로 무차별 확산함으로써 가능했다. 과연 탈북자들과 그들이 의존하는 북한내 소식통의 정보는 믿을 만한 것인가?

  우선 언론에 등장해서 각종 주장을 내놓고 있는 탈북자 출신 패널들은 북을 떠나 온지 상당히 오래된 분들이다. 많게는 수십년 적어도 십년 가까이 남쪽에 정착해 살고 있다. 시시각각 벌어지는 북한 내 정확한 정보를 짐작하고 알아내기엔 너무 오래 떠나 있었다. 필자도 고향을 떠나온 지 삼십년이 되었고 당연히 고향 사정과 소식은 감감할 수밖에 없다. 내가 살던 고향의 정취만 아련히 남아 있을 뿐 약속 장소를 정확히 찾아가기도 힘들 만큼 현재의 고향에는 낯설 수밖에 없다. 북에 살았던 당시의 일상생활과 관련해서는 탈북자의 정보와 증언이 타당하지만 십수년이 지난 지금의 북한에 대해 그것도 핵문제나 김정은 관련 정보나 군사도발 징후 등과 같은 정치군사적 고급 정보를 그들이 정확히 알고 있으리라는 것은 사실 불가능한 일이다.

  더욱이 최룡해 감금설처럼 북한의 은밀한 권력내부 정보는 탈북자와 북한내부 소식통이 정확히 알기 어렵다. 정보가 넘치고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한 우리의 경우도 청와대나 고위 권력층의 내밀한 동향과 사건을 아는 사람은 극소수일 수밖에 없고 정확한 팩트는 끝내 알려지지 않는 게 더 많다. 그런데 탈북자와 북한 내 소식통이 장성택과 최룡해 등 권력 엘리트의 내부 동향과 갈등 등을 소상히 알 수 있으리라는 것은 그 자체로 어불성설에 다름 아니다. 북에 살았으니까, 북한 내부 소식이니까 틀리지 않을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은 적어도 권력층 내부의 정보와 관련해서는 냉정을 찾아야 한다.

  그나마 북한내부의 정보원을 통해 소식을 전해 듣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도 대부분의 소식통은 평양이 아닌 북중 국경지역 사람들이다. 휴대전화를 통해 탈북자가 각자의 정보망을 활용하는 방식이지만 여기에도 경쟁적인 과잉정보의 구조가 존재한다. 전달하는 정보가 밋밋할 경우 언론이 관심을 가지기 어려운 탓에 대북 소식통 사이에 더욱 선정적이고 충격적인 내용을 과장되게 여과없이 만들어내는 유혹에 노출되어 있다. 탈북자도, 그들에게 소스를 제공하는 북한 내 소식통도 결국은 사실 확인보다는 세간의 관심과 언론의 조명을 받을 만한 과장 정보에 가까이 갈 수밖에 없는 구조가 있는 셈이다.

  특히 북중 국경 지역의 경우, 오고가는 북한내부 정보원들의 소식이라는 것이 기실은 북한 권부의 정확한 정보라기 보다는 오히려 다른 정보원과 탈북자가 과장되게 한국에 전달한 북한 관련 각종 설이 다시 한국 언론과 중국을 거쳐 북한 내부로 들어가 더 크게 확대되어 되돌아 오는 이른바 부메랑 효과의 소문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

  결국 대북 소식통이 제공하는 북한관련 정보들은 구체적인 실상을 들여다보면 대부분 믿을 수 없는 낭설이거나 과장생산된 것들임을 알 수 있다. 북한이 언론중재위에 제소하거나 명예훼손으로 고소하지 않는다고 언제까지 안심할 일이 아니다. 이제라도 북한관련 정보의 홍수 속에서 옥석을 가리고 진위를 구분하는 언론과 전문가의 엄정한 노력이 필요한 때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