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신문은 2010년을 마무리하면서 올해를 특징 짖는 4자성어로 장두노미(藏頭露尾)를 선정했다. 머리는 숨겼으나 꼬리가 보여 결국 진실을 감추지 못했다는 뜻이다. 머리가 별로 좋지 않은 타조는 누구에게 쫒기면 머리를 덤불 속에 처박고는 꼬리는 숨기지 못해 쩔쩔맨다는 것을 비유한 중국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물론 실정을 호도하려 했던 이명박 정부를 비꼰 말이다. 우리 사람들도 사실 창피를 피하거나 숨고자 할 때 얼굴을 숨기는 습관이 있다. 타조나 인간이나 별 차이가 없기도 하다.

인간 세상의 일이나 행태는 동물에 자주 비유된다. 곰 같은 사람, 여우 같은 사람, 뱀 같은 사람, 늑대 같은 사람....... 현실주의 정치사상가를 대표하는 마키아벨리는 위기 상황을 이끌어야 하는 군주의 덕목으로 ‘사자 같은 강함’과 ‘여우 같은 영리함’을 들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것처럼 인간이 정치적 동물이라면, 인간이 사는 사회는 ‘정치적 동물원’이 될 것이다. 미국과 세계의 유명 인사 50명을 비유해 [정치 동물원(The Political Zoo)]이라는 책에 넣기도 했던 새비지(Michael Savage)는 오늘날의 정치인들이 훨씬 더 야수와 같다고 했다. 당시 미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던 현 국무장관 힐러리(Hillary Clinton)를 두고 고양이과 동물에서도 가장 영민하고 위험스러운 표범에 비유했다. 반미운동의 선봉에 서있는 베네주엘라의 차베스(Hugo Chavez)는 전투복을 입은 두꺼비(toad)에 비유하면서 빈틈없는 냉혈의 양서류라는 점을 강조했다.

지난 11월 G20 홍보 포스터에 어느 시민이 쥐 그림으로 덧칠해 구속 논란이 된 바도 있다. 경찰이 재물손괴죄로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기각 됐었다. 정부의 단속대상 배경에는 재물손괴보다는 네티즌들이 이명박 대통령을 ‘쥐’로 빗대 온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못된 인간, 나쁜 인간을 동물이나 곤충에 비유하는 경우들이 많다. 중국의 한비자는 당시 나라를 좀 먹는 다섯 부류를 두고 오두(五蠹), 다섯 종의 좀먹는 벌레라고 했다(한비자, 오두편). 1970년대 우리의 유신시대를 풍자했던 김지하의 시 「오적(五賊)」이 떠오른다. 국회의원, 재벌, 고급공무원, 장성, 장차관을 오적으로 성토하는데 도적의 뜻을 갖는 한자로 음차하고 원숭이에 빗대기도 했다.

동물과의 비유가 아니라 오히려 동물보다 못한 인간들을 비판하는 경우도 있다. 안국선의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1908년에 발표했으니 국가의 주권이 대내외적으로 흔들리고 있던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당시의 부조리를 짐승들의 회의를 빌어 풍자하고 있다. 저자는 서언에서 당시의 시대 상황을 다음과 같이 통탄하고 있다.

“슬프다! 착한 사람과 악한 사람이 거꾸로 되고 충신과 역적이 바뀌었도다. 이같이 천리에 어기어지고 덕의가 없어서 더럽고, 어둡고, 어리석고, 악독하여 금수만도 못한 이 세상을 어찌하면 좋을꼬?” 어느 구절은 요즘에 딱 들어맞는 말 같다.

‘인류를 논박할 일’이라는 주제를 걸고 까마귀, 개구리, 여우, 벌, 게, 파리, 호랑이, 그리고 원앙 등 여덟 종류의 짐승들이 등장해 발언을 한다. 금슬 좋은 원앙의 경우는 자신을 본받으라고 하지만(쌍거쌍래雙去雙來), 나머지 일곱 짐승들은 인간을 비판할 때 ‘금수만도 못하다’며 자신들을 빌어 비판하는 것이 잘못됐다고 성토한다. 원래 인간이 더 문제라는 것이다.

반포지효(反哺之孝)의 주인공이 바로 까마귀이며, 우리 까마귀가 인경을 머리로 받아 목숨 바쳐 은인을 구한 고사를 아느냐고 묻는다. 우물안의 개구리라고 하지만,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에 눈감은 채 정쟁만 하는 당신들이 바로 정와어해(井蛙語海)의 당사자라고 한다.

호가호위(狐假虎威), 구밀복검(口蜜腹劍), 무장공자((無腸公子), 영영지극(營營之極),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등 각각 자신들과 관련된 고사성어들을 들면서 당시의 인간들, 특히 이른바 엘리트들의 세태를 비판했다. 2010년을 보내면서 오늘의 한국사회를 주도하는 사람들을 돌아보게 된다.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이라 함은 다른 사람과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을 전제한다. 분열과 폭력의 관계가 있을 수 있고, 연대와 평화의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맹자가 말했듯이 예의염치를 알고 시비를 제대로 가리는 사람들이 주도하는 사회가 되길 희망한다. 그래야 ‘따뜻한 사회’이고 ‘공정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것 아닌가? 더불어 ‘달 속 계수나무 아래에서 불로장생의 선약을 찧고 있는 토끼의 모습’처럼 평화로운 한반도의 토끼해가 되길 바란다.

김만흠(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